SpringMVC/Spring Boot (10)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작 원리 컨트롤러에서 Annotation GetMapping("호출주소")를 통해 웹브라우저에서 localhost:8080/호출주소 를 부를 때 스프링 부트의 동작 원리 컨트롤러에서 리턴값으로 문자를 반환하면 뷰 리졸버('viewResolver')가 templates폴더 아래 리턴값과 같은 이름을 가진 파일을 찾아서 처리(호출주소 연결 및 출력) 스프링 부트 템플릿엔진 기본 viewName 매핑 → "hello"를 리턴하면 resources 아래에, templates 아래에, ViewName이 hello인 (html) 파일을 찾아서 열어줌 HelloController package hello.hellospring.controller; 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Contro..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(Spring Boot) 스프링 부트 스터디 사이트(https://start.spring.io/)에 접속하여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Project : Maven, Gradle → 라이브러리 및 빌드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해주는 툴 (요즘 추세는 Gradle) Group : 기업명 (없으므로 대충 작성) Artifact : 빌드되어 나올 결과물(프로젝트명) Dependencies : 스프링부트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시작 시 어떤 라이브러리를 가져와 쓸 것인가 - Add Dependencies 클릭 후 spring web 추가(web을 만들어보고자 하기 때문에) - thymeleaf(html을 만들어주는 템플릿엔진)도 추가 Generate 다운받은 압축파일 풀어서 원하는 경로에 저장 → intelliJ open file 저장한 경로에서 .. 이전 1 2 다음